"어, 중국 거였어?"…우리가 유럽·북미 브랜드로 알았던 글로벌 명품, 알고 보니 '중국 자본'이 주인입니다!

  • 등록 2025.10.09 07:00:55
크게보기

'저가' 이미지 지우려는 중국 자본, '캐나다 정신' '스웨디시 감성' 마케팅 뒤에 숨어 글로벌 시장 장악

 

 

중국 제품은 '저가'라는 인식이 강한 가운데, 중국 자본이 막대한 자본력을 앞세워 전 세계 유명 글로벌 브랜드를 공격적으로 사들이고 있습니다. 이들 브랜드는 프리미엄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 중국 소유라는 점을 숨기고 철저히 본국 정체성을 강조하는 '중국 지우기' 전략을 취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알 권리를 위해 우리가 중국 제품인지 미처 알지 못했던 주요 글로벌 브랜드를 분야별로 정리했습니다.

 

1. 패션 및 아웃도어: 안타그룹의 '글로벌 스포츠 제국' 건설

 

중국의 대표 스포츠 브랜드인 안타그룹(Anta Group)은 중국 내수 시장을 넘어 글로벌 아웃도어 및 스포츠 시장의 '큰손'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브랜드 명 (원산지)

인수 시기

중국 인수 기업

주요 내용

아크테릭스 (Arc'teryx) (캐나다)

2019년

안타그룹 (Anta Group)

1991년 캐나다 밴쿠버에서 창립된 고급 아웃도어 브랜드로, 안타그룹이 모기업인 핀란드 아머스포츠를 46억 유로(약 7조 6000억 원)에 인수하면서 중국 소유가 되었습니다. 공식 마케팅 문구로 ‘캐나다 알파인 정신’이나 ‘밴쿠버 장인정신’ 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살로몬 (Salomon) (프랑스)

2019년

안타그룹 (Anta Group)

프랑스 브랜드로, 아크테릭스와 함께 안타그룹이 인수한 아머스포츠 소속입니다. 국내외 MZ세대 사이에서 인기가 많습니다.

윌슨 (Wilson) (미국)

인수된 지 꽤 됨

안타그룹 (Anta Group)

미국 스포츠용품 브랜드로, 아머스포츠 소속입니다.

피크 퍼포먼스 (Peak Performance) (스웨덴)

인수된 지 꽤 됨

안타그룹 (Anta Group)

스웨덴 아웃도어 브랜드입니다.

데상트 (Descente) (일본)

인수된 지 꽤 됨

안타그룹 (Anta Group)

일본 브랜드이지만, 안타스포츠가 중국 사업 운영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잭 울프스킨 (Jack Wolfskin) (독일)

인수됨

안타스포츠 (Anta Sports)

독일 아웃도어 브랜드로, 안타스포츠가 2억 9000만 달러(약 4000억 원)에 인수했습니다.

케이스위스 (K-Swiss) (미국)

2019년

엑스텝인터내셜홀딩스 (Xtep International Holdings)

미국 캘리포니아 브랜드라는 점을 대대적으로 마케팅하고 있지만, 2019년부터 중국 엑스텝인터내셜홀딩스에 인수되었습니다.

랑방 (Lanvin) (프랑스)

2018년 (2월)

푸싱그룹 (Fosun Group)

여성복과 화장품 등을 판매하는 프랑스 명품 브랜드입니다. 중국의 푸싱그룹이 2018년에 경영권을 인수했습니다. 푸싱그룹은 랑방을 인수한 뒤 잘 키우고 있습니다.

클럽메드 (Club Med) (프랑스)

출자/보유

푸싱그룹 (Fosun Group)

프랑스의 호화 리조트 브랜드로, 푸싱그룹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프레떼 (Frette) (이탈리아)

2023년

안타스포츠 딩스중 회장

이탈리아의 프리미엄 침구 브랜드로, 2023년에 안타스포츠 창업자 딩스중 회장의 주도로 손에 넣었습니다.

 

2. 자동차 및 제조: 유럽 헤리티지를 활용하는 거대 자본

 

자동차 업계에서도 중국 자본은 유럽의 유서 깊은 브랜드들을 인수하여 프리미엄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브랜드 명 (원산지)

인수 주체

중국 인수 기업

주요 내용

볼보 (Volvo) (스웨덴)

인수됨

지리자동차 (Geely Automobile)

프리미엄 브랜드로 인식되며, 국내 광고에서 주로 ‘스웨덴 안전 기술’이나 ‘스웨디시 럭셔리 감성’을 내세우지만, 중국 지리자동차에 인수되었습니다.

폴스타 (Polestar) (스웨덴)

인수됨

지리자동차 (Geely Automobile)

스웨덴의 전기차 브랜드로, 볼보와 마찬가지로 중국 지리자동차 소유입니다. 한국에서도 프리미엄 브랜드로 인식됩니다.

로터스 (Lotus) (영국)

인수됨

지리자동차 (Geely Automobile)

영국의 자동차 브랜드로, 지리자동차에 인수된 이후 중국 관련 이슈를 최대한 노출하지 않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GE 가전 (GE Appliances) (미국)

2016년

하이얼 (Haier)

전구를 발명한 토머스 에디슨의 모태 기업 중 하나였던 제너럴일렉트릭(GE)의 가전 부문을 중국의 하이얼이 2016년에 인수했습니다. 북미에서는 월풀과 함께 양대 가전으로 꼽힙니다.

 

3. 골프 및 레저: 명문 클럽과 장인 정신의 인수

 

골프 시장에서도 중국 자본의 활발한 M&A가 확인됩니다.

 

브랜드 명 (원산지)

인수 시기

중국 인수 기업

주요 내용

혼마골프 (Honma Golf) (일본)

2010년

머라이언 홀딩스 (Merlion Holdings)

일본의 유명 골프클럽 제조업체였으나, 경영 다각화 실패 후 2005년 워크아웃을 거쳐 2010년 중국의 대형 유통기업인 머라이언 홀딩스에 넘어갔습니다. 현재는 중국에 사업 거점을 두고 있으며,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에게 선물했던 골프채로 유명합니다.

웬트워스 골프클럽 (Wentworth Golf Club) (영국)

2014년

레인우드 인베스트먼트 (Reignwood Investment)

영국 런던 인근에 위치한 명문 골프장으로, 유러피언투어 본부가 입주해 있으며 BMW PGA 챔피언십이 매년 열리는 곳입니다. 2014년 2억 2000만 달러(약 2285억 원)에 중국 회사인 레인우드 인베스트먼트로 넘어갔습니다.

 

4. 중국 자본이 '원산지 지우기'에 나서는 이유

 

이처럼 글로벌, 특히 서구권 브랜드들이 중국 자본 산하에 있다는 사실을 숨기고 본국 정체성을 철저히 강조하는 데는 전략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아직까지 일반 소비자들에게 북미·유럽산이 고가 프리미엄 제품이라는 인식이 크기 때문입니다. 중국 자본 산하에 있다는 사실을 드러내지 않는 것이 프리미엄 이미지를 유지하는 데 더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둘째, '중국산=값싸고 품질이 낮다'는 고정관념이 여전히 존재하므로, 이를 회피하고 높은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중국 지우기' 전략이 필요합니다.

 

셋째,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 반중(反中) 정서가 남아 있다는 점을 의식한 조치이며, 여러 정치적·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중국 비선호 경향을 의식한 조치이기도 합니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국내 소비자들에게 반중 정서가 쉽게 가라앉지 않는 분위기라며, 프리미엄 브랜드일수록 중국 지우기 마케팅이 거의 생존 전략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중국 자본은 엄청나게 큰 내수시장(세계 명품 소비의 약 40%가 중국에서 발생)을 바탕으로 해외 유명 브랜드를 인수하여 자체적으로 브랜드 파워를 높이고 글로벌 입지를 다지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해외 투자 정책('고잉 아웃' 전략)의 지원을 받으며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김대중 기자 4cu@cattok.net
Copyright @포씨유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프로필 사진
김대중 기자

포씨유신문 발행인겸 편집인
글로벌캐디원격평생교육원 원장
전, (주)골프앤 대표이사
건국대학교 국제무역학과 박사과정 수료
일본 국립 쓰쿠바대학 경영정책과 석사과정 특별연구생
미국 UC Berkeley Extension 수료
저서: 캐디학개론, 캐디가 알아야 할 모든 것, 골프 이 정도는 알고 치자, 인터넷 마케팅 길라잡이, 인터넷 창업 길라잡이, 인터넷 무역 길라잡이, 인터넷 무역 실무, 386세대의 인터넷 막판 뒤집기, 386세대여 인터넷으로 몸 값을 올려라.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주소 : 서울시 송파구 거마로73, 4층(마천동) 등록번호: 서울,아55269 | 등록일 : 2024-01-25 | 발행인 : 김대중 | 편집인 : 김대중 | 전화번호 : 02-6465-5173 Copyright @(주)포씨유(Forcu Co., 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