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시작
1인당 10만 원 지급…내달 31일까지 접수
부산시가 시민들의 생활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을 22일부터 받기 시작했다. 이번 사업은 코로나19 여파와 물가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서민 가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지원 대상은 가구 합산 소득 하위 90%에 해당하는 시민이며, 지급 금액은 1인당 10만 원이다. 신청 기간은 9월 22일부터 10월 31일까지다.
신청 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가능하다. 온라인은 카드사 홈페이지와 앱, 지역사랑상품권 앱, ARS 등을 통해 접수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은 주민센터와 카드사 연계 은행 영업점에서 신청할 수 있다.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나 장애인을 위한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도 제공된다.
소비쿠폰은 전통시장, 동네마트, 식당, 카페, 의류점, 미용실, 의원, 약국 등 지역 상권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대형마트, 백화점, 면세점, 온라인 쇼핑몰, 유흥·사행업종에서는 사용이 제한된다.
부산시는 “이번 소비쿠폰이 지역 내 소비 촉진과 서민 생활 안정에 실질적인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신청과 활용을 바란다”고 밝혔다.
소비쿠폰은 신청 다음 날부터 바로 사용 가능하며, 사용 기한은 오는 11월 30일까지다.
소득 하위 90% 대상…지역 소비 촉진 효과 기대
부산시가 경기 침체와 내수 위축에 대응하기 위해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에 나섰다. 시는 22일부터 가구 합산 소득 하위 90%를 대상으로 1인당 10만 원을 지급하며, 신청은 오는 10월 31일까지 가능하다.
소비쿠폰은 카드사 홈페이지·앱, 지역사랑상품권 앱, ARS 등 온라인 채널을 비롯해 주민센터와 카드사 연계 은행 영업점에서도 신청할 수 있다. 시는 고령자와 장애인을 위해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도 운영한다.
부산시는 이번 조치로 지역 내 소비 진작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2차 민생소비쿠폰은 지역 경제의 선순환을 유도하고 소상공인 매출 회복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주요 도시별 비교
- 서울시: 약 770만 명이 대상에 포함되며, 약 7조7천억 원의 지급액이 예상된다. 서울은 대규모 유통망 비중이 높아 전통시장·소상공인 중심의 효과는 부산보다 다소 분산될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절대적인 소비 진작 효과는 전국에서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된다.
- 대구시: 약 120만 명이 지원 대상에 해당해 총 1,200억 원이 풀릴 것으로 추산된다. 규모는 부산의 절반 수준이나, 대구 역시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비중이 높아 체감 효과는 서울보다 높을 가능성이 있다.
- 부산시: 총 2,600억 원 규모 지급으로, 중대도시 중에서는 지역경제 파급력이 가장 균형 있게 나타날 것으로 평가된다. 항만·관광산업과 맞물려 소상공인 매출 증대와 내수 활성화 효과가 동시에 기대된다.
경제적 파급 효과
부산시는 이번 소비쿠폰이 지역 내 소비 촉진에 뚜렷한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총 지급 규모: 전국적으로 약 4,500만 명이 대상이며, 이 가운데 부산 시민은 약 260만 명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부산에서만 약 2,600억 원 규모의 소비쿠폰이 풀릴 전망이다.
- 소비 유발 효과: 통상 지역사랑상품권의 소비 승수 효과가 1.5~1.7배 수준인 점을 감안할 때, 약 3,900억 원 이상의 소비가 지역 내에서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추산된다.
- 소상공인 매출 증대: 부산시 소상공인 매출은 평균 5~7%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전통시장과 음식·외식업, 생활 서비스업(미용, 안경, 의원 등)이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2차 민생소비쿠폰은 시민 생활 안정과 더불어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매출 회복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지역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포씨유신문 최수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