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025년 9월부터 기후동행카드 서비스 범위를 확대하며 한강순환버스까지 무제한 이용 가능하도록 개편했다. 기존 월 6만5천 원에서 2천 원 인상된 6만7천 원 요금으로 지하철·버스·따릉이·한강순환버스까지 모두 이용 가능해지며 시민들의 교통비 부담은 줄고, 탄소 감축 효과는 커질 전망이다. 1. 기후동행카드, 어떻게 달라졌나? 항목 기존 개편 후 이용 범위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 따릉이 + 한강순환버스 포함 월 요금 65,000원 67,000원 이용 방식 교통카드 연동형 / 모바일 QR형 동일 혜택 무제한 탑승, 환승 할인 유지 동일 + 한강 접근성 향상 “한강순환버스는 관광용이 아니라, 시민의 일상 교통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서울시 교통정책과 2. 탄소 감축 효과도 기대 서울시 분석에 따르면, 기후동행카드 이용자는 월 평균 22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승용차 이용 대비 연간 약 1.2톤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후동행카드 혜택에 한강순환버스 포함으로 인해 도심~수변 간 친환경 이동 경로가 확대되었다
서울시가 야심 차게 도입한 친환경 수상 대중교통 ‘한강버스’가 마침내 한강에 모습을 드러냈다. 27일 여의도 인근에 도착한 101호, 102호는 단순한 교통수단이 아니라, 서울시 대중교통 시스템의 패러다임을 바꿀 혁신적인 도전이다. 기존 도로 중심의 교통망에 수변을 결합함으로써 시민들에게 새로운 이동 경험을 제공하고, 교통 혼잡을 완화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친환경 기술로 차별화된 한강버스 이번에 도입된 한강버스는 환경 친화적 요소를 적극 반영한 점이 눈에 띈다. 알루미늄합금 재질을 사용해 무게를 줄이고 연료 효율성을 높였으며, 하이브리드 추진체를 탑재해 기존 디젤기관 선박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52% 절감할 수 있다. 이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탄소중립 도시’ 비전에 부합하는 정책적 선택으로 평가된다. 특히, 해상운송에서 자주 사용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대신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를 채택했다는 점은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설계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강이라는 자연환경과 공존하는 교통수단으로서, 단순한 운행을 넘어 친환경 미래 교통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높였다. 안전성과 서비스 품질 확보 과제 서울시는 3월 초부터 본격적인 정식운항을 앞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