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 최고의 문학가 중 한명인 조식이 지은 시로 일곱 걸음을 걷는 동안 지은 시라고 해서 칠보시라고 한다.
최초로 문집을 간행한 여성시인이자, 홍길동의 저자 허균의 누나인 허난설헌의 대표작 채련곡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글을 이해하기 쉽게 주석을 달았습니다. 끝으로 이 글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골프앤포스트=尙汕 김준태] 국화를 돌보다가 고개를 드니 경정산이 보이네
동몽선습 부부유별에 보면 이런 글이 나온다. 옛날에 극결이란 사람이 밭에서 김을 맬 때, 그의 아내가 남편에게 새참을 내갔는데, 서로 손님처럼 대했으니, 부부의 도리는 마땅이 이와 같아야 하며, 자사가 말하길 '군자의 도리는 부부에서 시작한다'라고 하였다. 여기서 등장하는 말이 바로 상대여빈( 相對如賓)이다. 요즘은 집에 손님이 오는 경우는 극히 드물지만, 과거부터 전통적으로 집에 손님이 찾아오면 극진하게 대접하는 풍습이 있었다. 부부관계의 시작은 서로 손님처럼 극진하게 대하라는 것이다. 우리가 손님을 대할 때, 예를 다하여 대하듯 남편과 아내 서로가 예를 갖추어야 하는 것이다. 지금처럼 하대해서는 안될 것이고, 무시해도 안될 것이며, 상호간 존중과 존경을 보내야 비로서 올바른 부부관계가 성립된다고 하였으며, 올바른 부부관계가 군자의 도리를 만드는 시작이라고 까지 하였다. 동몽선습(童蒙先習)은 조선시대 서당에서 교재로 사용한 책으로 조선 중기 유학자인 박세무 민제인이 아동들을 위하여 지은 책이다. 내용은 오륜의 대의를 간결하게 서술하고, 중국과 한국의 역대 세계를 수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