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여권지수(Henley Passport Index)가 만들어진 지 20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이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여권 상위 10위권에서 밀려났다. 2014년에는 부동의 1위를 차지했던 미국 여권이 이제는 말레이시아와 함께 공동 12위로 추락했으며, 전 세계 227개 목적지 중 180곳에만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다. 현재 아시아 3국이 나란히 1~3위를 차지하고 있다. 싱가포르가 193개국, 한국이 190개국, 일본이 189개국에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으며, 이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의 독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미국 여권의 하락세와 최근 10위에서 12위로의 추가 하락은 일련의 ‘입국 허용 변화’에 따른 것이다. 상호주의 결여로 인해 올해 4월 브라질이 미국 시민의 비자 면제를 철회하면서 시작된 하락은 중국의 급속히 확대되는 무비자 입국 대상국 명단에서 미국이 제외되면서 가속화됐다. 이어 파푸아뉴기니와 미얀마가 자국의 입국 정책을 조정하면서 미국의 점수는 더 떨어졌고, 다른 국가들의 여권 점수는 상승했다. 가장 최근에는 소말리아가 새로운 전자비자(eVisa) 시스템
전 세계인의 국경 이동 자유도를 보여주는 Henley Passport Index 2025가 발표됐다. 올해도 아시아 국가들이 상위권을 휩쓸며, 싱가포르가 193개국 무비자 입국으로 1위를 차지했고, 한국과 일본은 190개국 무비자 입국으로 공동 2위에 올랐다. Henley Passport Index란?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Timatic 데이터를 기반으로, 여권 소지자가 사전 비자 없이 입국 가능한 국가 수를 기준으로 여권의 ‘이동성’을 평가한 것으로 총 199개 여권, 227개 목적지를 분석하고 있다. 2가지 항목의 분석값이 다른데, 하나는 헨리 글로벌 여권 랭킹과 헨리 여권 파워 지수다. 글로벌 여권 랭킹은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국가 순으로 순위를 정하고 있지만, 여권 파워 지수는 전 세계 199개 여권의 경제적 이동성을 평가하는 도구로, 각 여권 소지자가 비자 없이 접근할 수 있는 전 세계 GDP의 백분율을 측정하여 점수를 부과한다. 참고로, 여권 랭킹은 싱가포르가 193개국으로 1위, 한국과 일본이 190개국으로 2위이지만, 여권 파워 랭킹을 보면, 한국이 98.19%로 1위, 일본이 96.3%로 2위, 싱가포르가 92.46%로 9위로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