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씨유신문 라이프·문화 특집] “카페는 도서관이 아니다”… 장시간 공부 문화, 공존 가능한 질서가 필요하다
차마시는 공간과 스터디 하는 공간이 층별분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 "실제로 여러 카페들 중에 같은층에 한쪽은 스터디 공간으로 자리가 배치되어 있는 공간도 있다. 하지만 대화의 불편한점 때문에 이는 층별 분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최근 일부 카페에서 장시간 학습 및 과제를 진행하는 이른바 ‘스터디족’의 증가로 인해 일반 고객들의 불편이 심화되고 있다. 카페의 본래 기능인 휴식과 담소의 공간으로서의 역할이 훼손되며, 이용 만족도 저하와 매장 운영상의 어려움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 주요 문제점 문제 항목 설명 좌석 부족 장시간 자리 점유로 회전율 저하, 신규 고객 착석 어려움 소음 발생 팀 과제·토론 등 대화 소음으로 일반 고객 불편 분위기 저해 도서관처럼 경직된 분위기로 여유로운 이용 어려움 콘센트 독점 장시간 충전으로 다른 고객 사용 제한 소비 불균형 음료 1잔으로 수시간 체류, 매장 운영 부담 공간 협소화 책·가방 등 개인 물품 과다 배치로 쾌적함 저하 2. 업계·전문가의 목소리 업계 관계자는 “카페는 특정 목적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