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의 건강보험 제도는 1883년 비스마르크 총리에 의해 세계 최초로 시작된 국가보험 모델이다. 그중에서도 AOK(AOK – Allgemeine Ortskrankenkasse)는 2천만 명 이상이 가입한 독일 최대 법정 건강보험 공단으로, 학생·직장인·자영업자·실업자 등 대부분의 주민이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구조다.
AOK 보험의 핵심 특징
항목 |
내용 |
---|---|
대상 |
독일 거주자 중 법정 건강보험 의무 대상자 (직장인, 학생 등) |
혜택 |
진료·입원·처방약·치과·심리상담·예방접종 등 거의 대부분 의료행위 포함 |
보험료 |
월 소득의 약 14.6% + 지역별 1~2% 추가분 (직장인 기준, 회사와 50:50 부담) |
학생 보험료 |
평균 약 120유로 수준 (30세 미만 기준) |
가입절차 |
온라인 또는 지점 방문 → 신청서 → 확인서 → 보험카드 수령 |
병원에서는 보험카드만 제시하면 진료 가능, 처방약은 대부분 80~90% 보험 부담, 물리치료·피트니스 프로그램·건강 상담 등 예방 중심 프로그램도 활발하다.
“모두가 함께 보험을 운영하고, 누구든 병원에 갈 수 있도록 돕는다”
– 독일식 사회 연대(solidarität) 철학
포씨유 시선: “한국도 이 방향으로 가고 있다… 사보험 의존 줄이고 신뢰는 쌓아야”
독일과 한국의 건강보험 제도 비교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항목 |
독일 AOK 제도 |
한국 국민건강보험 |
---|---|---|
역사 |
140년 이상 |
약 50년 |
보험료 산정 |
소득 기반 (공정성 높음) |
소득 + 재산 + 자동차 (불만 존재) |
병원 이용 |
보험카드 1장으로 간편 진료 |
비급여 많고 사보험 보완 필요 |
약값 부담 |
보험 부담률 높음 (80~90%) |
개인 부담 비율 높고 불균등함 |
복지 연계 |
연금·실업·간병까지 통합 운영 |
일부만 가입, 보장 사각지대 존재 |
독일은 사보험 의존도가 낮고, 공보험에 대한 신뢰도가 높으며, 한국은 공보험 구조 개선 중이나 비급여·실비보험 의존도 여전히 높다.
“건강보험은 세금이 아니라 연대다. 독일은 그 철학을 140년간 지켜왔고, 한국도 그 방향으로 걸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