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17만 원을 받을 수는 없다. 단, 자격과 서비스가 그 돈의 조건이 돼야 한다.” 최근 캐디피가 오르면서, 그 보상에 걸맞은 서비스 기준과 자격 제도 마련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캐디 자격증’이 존재하지만 아직 현장 적용과 보상 연계는 미흡한 실정이다. 캐디 자격증, 단순 교육이 아니라 직무의 공식 인증이어야 - 일부 평생교육기관에서 캐디학개론, 캐디국가직무능력표준, 신입캐디입문, 골프룰, 골프에티켓, 캐디서비스, 중대재해처벌법, 캐디와 법률, 캐디서비스 등 교육과정 운영 - 실제 필드에서 적용 가능한 실무 능력까지 검증돼야 의미 - 단순 수료 인증이 아닌 현장 피드백·재평가 시스템과 연동 필요 “자격증은 시작일 뿐이다. 캐디 업무는 실제 현장에서 실력이 입증돼야 한다.” 캐디등급제 도입, 서비스에 따른 차등 보상의 출발점 등급 조건 레벨 3 자격증 보유 + 무클레임 기록 + 고객평점 상위 레벨 2 자격증 보유 + 경력 연차 + 중간 수준 평가 레벨 1 무자격 + 신입 + 교육 미이수 or 클레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