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구름많음동두천 6.8℃
  • 흐림강릉 11.3℃
  • 박무서울 10.7℃
  • 박무대전 10.3℃
  • 박무대구 10.1℃
  • 박무울산 12.4℃
  • 박무광주 12.6℃
  • 흐림부산 16.7℃
  • 맑음고창 10.3℃
  • 맑음제주 19.6℃
  • 구름많음강화 10.0℃
  • 구름많음보은 7.4℃
  • 구름많음금산 6.1℃
  • 맑음강진군 12.5℃
  • 구름많음경주시 9.8℃
  • 구름많음거제 14.9℃
기상청 제공

라이프&

[포씨유신문 사회기획] “팬심을 돈벌이로? 암표업자에 국세청 칼 빼들었다”

티켓팅 전쟁 유발한 암표상 17개 업자 세무조사 착수… 매크로·직링·차명계좌까지 전방위 추적

 

2025년 11월 6일, 국세청은 공연·스포츠·콘서트 등에서 암표 거래로 폭리를 취해온 전문 암표업자 17개 대상에 대해 강도 높은 세무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팬심을 상업적으로 악용한 민생침해 탈세 행위에 대한 국세청의 단호한 대응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암표의 실태: 티켓팅 전쟁의 배후

 

  • 정가 10만 원 티켓 → 암표가 수백만 원까지 폭등

  • 티켓 거래 플랫폼 상위 1% 판매자 400명 → 전체 거래 절반 독식

  • 연간 거래금액 6,700만 원 이상, 정규직 초임 훌쩍 넘는 수익

  • 팬덤 문화와 중고거래 플랫폼 성장에 편승한 조직적 암표 유통

 

“물 들어올 때 노 저어야 한다”는 블로거의 조롱 섞인 글은 티켓을 구하지 못한 팬들에게 분노를 안겼다.

 

조사 대상 및 수법

 

유형 주요 수법 탈루 혐의
중고거래형 업자 티켓 재판매, 수익 은닉 개인 계좌 수취, 게시물 삭제
대리 티켓팅 업자 ‘댈티’ 수수료 수익 창업 감면 혜택 악용, 차명계좌
매크로 판매자 자동 예매 프로그램 유통 수천 건 판매, 신고 누락
직링 판매자 대기열 우회 링크 판매 현금 수취, 무신고

 

일부는 공공기관 근무자·사립학교 교사까지 포함되어 공적 책임을 저버린 채 암표 거래에 가담한 것으로 드러났다.

 

착수사례: 암표로 수십억 자산 축적

 

  • A: 티켓 정가의 10~15배에 암표 판매, 8억 원 상당 예금·부동산 축적

  • B: 해외 관광객 대상 암표 판매, 100억 원 수입 과소 신고

  • C: SNS·커뮤니티 통해 암표·명품 잡화 판매, 35억 원 과다 지출

  • D: 매크로·다계정 활용 대리 티켓팅, 12억 원 주식 취득

 

포씨유 시선

 

“암표는 단순한 질서 위반이 아니라 문화적 기본권을 침해하는 구조적 범죄입니다. 국세청의 이번 조사는 팬덤과 소비자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조세 정의의 실질적 실현으로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포토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