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는 12일(수) 오후 2시 충북도청 영상회의실에서 ‘도내 대학 국제교류부서 유학생 정책 협력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도내 14개 대학의 국제교류원장 및 실무진과 함께 그간 K-유학생 제도 추진 상황에 대한 점검과 함께 향후 개선 사항을 도출하고, 충북도 유학생 정책에 대한 공유와 의견 수렴 등 ‘도-대학’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충북도는 앞으로 법무부의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과 연계해 우수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는 물론 지역 산업과 연계한 일·학습 병행을 통해 충북에 취업·정주 하도록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둘 계획이다. 이에 앞서 충북의 특성에 맞게 설계, 법무부에 제출한 비자 설계안을 지역대학과 공유하고 의견을 수렴했다. 특히 유학생들의 정착 지원프로그램, 일학습병행 안전교육, 외국인 유학생 전용 플랫폼 구축, 유학생 취업박람회 등 도에서 추진하는 유학생 지원사업의 세부 추진계획과 협력 방안이 구체적으로 논의됐다. 박선희 충북도 외국인정책추진단장은 “최근 10년간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 정책의 초점이 과거 결혼이주여성에서 외국인 유학생, 근로자, 재외동포 등 다양한 계층으로 확대되고 있고, 외국인 정책도
법무부는 2024년 9월 26일 발표한 새로운 출입국‧이민정책의 후속 조치로,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체류 비자를 통해 외국인의 안정적인 정착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을 2025년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은 2024년 12월 광역지자체 공모를 시작으로, 내년 3월 시범사업 대상 지자체를 선정해 2026년까지 2년간 운영된다. 광역형 비자는 각 광역지자체가 지역 특성을 반영해 설계한 비자제도를 통해 지역의 경제·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시범사업에서는 유학 비자(D-2)와 특정활동 비자(E-7)가 대상이다. 시범사업은 선정된 지자체가 추천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법무부가 비자를 심사·발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광역형 비자 심의위원회는 법무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며, 관련 부처 실무자와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다. 심의위원회는 사업 대상 지자체 선정, 사업 계획 조정 및 확정, 연도별 사업 평가 등을 심의한다. 법무부는 성공적인 사업 운영을 위해 연도별 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며, 각 지자체의 외국인 사회통합 정책, 쿼터 충원율, 사회통합정책 참여율, 불법체류율, 지역 내 외국인 구성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