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범죄에 이용된 전화번호를 신고 후 10분 이내에 차단하는 ‘긴급차단 제도’가 2025년 11월 24일부터 본격 시행된다. 경찰청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대응단은 통신 3사(SKT·KT·LGU+)와 삼성전자와 협력해 기존 2일 이상 걸리던 전화번호 차단 시간을 10분 수준으로 대폭 단축했다. ‘최적 시간’에 범죄 차단 - 보이스피싱 피해의 약 75%는 첫 문자·전화 수신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 - 기존 제도는 신고 후 실제 차단까지 최대 2일 소요 - 긴급차단은 범죄자가 통신망에 접근하는 순간 차단 - 피해자와 피싱범의 통화가 실시간으로 끊어지는 사례도 발생 어떻게 작동하나? - 삼성 스마트폰(One UI 7.0 이상)에는 ‘간편제보’ 기능이 탑재 - 의심 문자·통화 길게 누르면 ‘피싱으로 신고’ 버튼 등장 - 통화녹음 기능 활성 시 음성파일도 함께 제보 가능 - 간편제보 외에도 통합대응단 누리집(www.counterscam112.go.kr) 통해 누구나 신고 가능 - 제보된 번호는 통신사에 전달되어 7일간 임시 차단 후 추가 분석을 거쳐 완전 정지 처리 시범운영 결과 - 총 14만5천여 건 제보 중 중복·오인 제외 5,249개 번호 차단 - 실제 피
삼성전자가 보이스피싱 고도화에 대응하기 위해 AI 기반의 실시간 보안 기능을 스마트폰에 도입했다. 갤럭시 Z 폴드7·플립7에는 새롭게 ‘보이스피싱 의심 전화 알림’ 기능이 탑재되며, 사용자 보호를 위한 모바일 보안 기술이 한층 강화됐다. 새 기능 요약 보이스피싱 의심 전화 알림 서비스로 갤럭시 Z 폴드7·플립7에 적용되며 추후 One UI 8 이상 스마트폰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적용 기술은 온디바이스(On-device) AI 기술에 KISA 제공 보이스피싱 데이터 3만 건을 학습해서 적용된다. 작동 방식은 통화 중 AI가 실시간으로 음성·문장·진동 패턴 분석하고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면 ‘의심’에서 ‘경고’로 단계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보이스피싱으로 의심됩니다”, “보이스피싱 감지됨”과 같은 경고창이 표시된다. 보안 효과와 배경 - 2025년 상반기 기준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 약 1만 2000건 - 피해액: 약 6400억 원 (출처: 경찰청) - 삼성은 KISA·방송통신위원회와 협력해 악성 메시지 차단, 인텔리전스 기반 스팸 필터링 기능도 강화 중 “AI가 실시간으로 사용자 음성 패턴을 분석해 보이스피싱을 감지하고 경고하는 기술은 모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