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1회용품 없는 경기특화지구’ 확대… 친환경 도시 선도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1회용품 없는 경기특화지구’를 기존 5곳에서 6곳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확대 조치는 친환경 도시 조성을 위한 선도적 정책으로, 양평 양수리전통시장을 새롭게 추가하고 기존 안산 샘골로 먹자골목의 면적을 약 3배 확대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지난해 경기도는 ▲부천시 대학교 캠퍼스(가톨릭대, 부천대, 유한대, 신학대) ▲안산시 샘골로 먹자골목 ▲광명시 무의공 음식문화거리, 광명사거리 먹자골목 ▲양평군 세미원 등 4개 시 5곳을 ‘1회용품 없는 경기특화지구’로 조성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2024년 도입기, 2025년 확장기, 2026년 정착기의 3단계 계획을 수립하고, 총 30억 원을 투입해 다회용기 사용 기반 시설을 구축할 방침이다. 지역별 1회용품 저감 추진 현황 부천시는 관내 4개 대학 캠퍼스의 14개 카페를 대상으로 다회용컵 사용 시 QR 코드를 활용한 ‘탄소중립 포인트 리워드’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친환경 소비를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안산시는 샘골로 먹자골목 인근 음식점 79곳에서 다회용기 사용을 확대하고 있으며, 기존 1만 7,211㎡였던 특화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