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1회용품 없는 경기특화지구’를 기존 5곳에서 6곳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확대 조치는 친환경 도시 조성을 위한 선도적 정책으로, 양평 양수리전통시장을 새롭게 추가하고 기존 안산 샘골로 먹자골목의 면적을 약 3배 확대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지난해 경기도는 ▲부천시 대학교 캠퍼스(가톨릭대, 부천대, 유한대, 신학대) ▲안산시 샘골로 먹자골목 ▲광명시 무의공 음식문화거리, 광명사거리 먹자골목 ▲양평군 세미원 등 4개 시 5곳을 ‘1회용품 없는 경기특화지구’로 조성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2024년 도입기, 2025년 확장기, 2026년 정착기의 3단계 계획을 수립하고, 총 30억 원을 투입해 다회용기 사용 기반 시설을 구축할 방침이다.
지역별 1회용품 저감 추진 현황
부천시는 관내 4개 대학 캠퍼스의 14개 카페를 대상으로 다회용컵 사용 시 QR 코드를 활용한 ‘탄소중립 포인트 리워드’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친환경 소비를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안산시는 샘골로 먹자골목 인근 음식점 79곳에서 다회용기 사용을 확대하고 있으며, 기존 1만 7,211㎡였던 특화지구 면적을 올해 4만 9,280㎡로 대폭 확장했다.
광명시는 카페 및 음식점 81곳에서 ‘1회용품 제로데이 캠페인’을 운영하며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또한, 친환경 소비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양평군은 기존 세미원 1곳에서 올해 양수리전통시장을 추가하여 총 2곳으로 특화지구를 확대했다. 카페 및 음식점 24곳에서 다회용기 사용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오는 2026년 개최 예정인 ‘경기정원문화박람회’와 연계해 지속적인 1회용품 감축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도민 참여 확대 및 순환경제 모델 구축
경기도는 지난해 기준으로 특화지구 5곳에서 약 58만 명이 다회용기 사용을 경험한 것으로 추정하며, 올해 신설 및 면적 확대로 그 수가 127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한, 대학, 관광지, 음식문화거리 등 3개 분야에서 순환경제의 표준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용균 경기도 자원순환과장은 “2024년 도입기를 거쳐 2025년에는 1회용품 없는 특화지구를 대폭 확장해 순환경제의 표준 모델을 마련하겠다”며 “경기도가 앞장서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천 모델을 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향후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 기업과 협력해 친환경 소비문화 정착을 위한 추가적인 지원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번 정책이 1회용품 저감과 지속가능한 친환경 도시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