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트 운전하고 클럽만 들고 다니는 사람일 뿐인데, 왜 그렇게 비싼가요?” “골퍼 말에 그냥 ‘예’만 하면 되지, 뭘 전문가씩이나 되라고 하나요?” 이러한 인식은 골퍼와 캐디 사이의 신뢰 단절과 직무 오해를 만든다. 포씨유신문은 오늘 캐디라는 직업을 그저 보조자가 아닌, 전문직으로 다시 정의한다. 캐디 직무는 단순이 아닌 복합 기능 기능 세부 내용 경기 흐름 조율 골퍼별 리듬 파악, 진행 템포 조정 거리·코스 안내 지형 이해, 클럽 선택 지원, 트러블 샷 유도 안전·현장 통제 주변 물리적 위험 관리, 플레이 집중 환경 조성 어드바이스 제공 코스 상황과 홀컵까지 거리를 계산해서 고객에게 맞는 클럽 조언, 그린 빠르기와 기울기에 따른 라이 조언 팀워크 조성 4인 플레이어 간 분위기 중재, 갈등 완화 역할 실제로 경기력에 관여하는 요소가 많으며, 서비스직을 넘어 고도의 감각과 판단력이 필요한 직무이다. 고객의 오해: 캐디를
최근 수도권 골프장 캐디피가 17만 원까지 인상되며, 지방 골프장도 14만 원~15만 원 사이에서 빠르게 가격이 오르고 있다. 골퍼 커뮤니티에서는 "캐디는 그대로인데 가격만 올랐다"는 불만도 나오지만, 포씨유신문은 이 흐름을 수요·공급의 원칙에 따른 구조적 결과로 본다. 캐디피 인상의 구조: “경쟁이 낳은 고가 보상” 캐디는 골프장의 직원이 아니라 고객에게 직접 고용되어 비용을 받는 형태이다. 특히 수도권 골프장은 여성 캐디 선호 경향이 강한데, 여성 캐디가 구직 시 가장 먼저 보는 조건이 바로 ‘캐디피’다. 수요공급 공식 ✅ 골프장 캐디 모집: 인력 부족 → 더 많은 보상 제시 ✅ 캐디: 캐디피 높은 곳으로 이동 ✅ 다른 골프장: 경쟁적으로 캐디피 상향 결과: 전체 시장에서 캐디피는 오를 수밖에 없음 고객의 이중 반응: “비싼 캐디, 그런데 왜 불편하지?” “캐디 역할을 잘 하면, 더 줘도 아깝지 않다. 그런데 질이 낮은 캐디에게도 17만 원 주는 것은 아깝다. 차라리 노캐디 골프장을 가겠다” 실제로 캐디피만 오르고 서비스 질은 제자리라는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하면서 고객들의 불만이 터지기 일보 직전이다. 캐디가 전문가라는 인식 자체를 받아들이기 어려워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