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2024년 상반기(1월~6월) 급성심장정지 환자 16,782건 중 16,578건(98.8%)에 대한 조사가 완료되어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질병관리청은 2008년부터 급성심장정지조사를 통해 119구급대에 의해 의료기관으로 이송된 급성심장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조사를 실시하고 있고, 그 조사결과를 급성심장정지 관련 정책 및 연구 등에 적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2022년부터 반기 단위로 공표하고 있다. 1. 급성심장정지 주요 발생 원인은 심장 질환 등 질병, 주요 발생 장소는 가정 ’24년 상반기 조사 주요 결과, 심인성(심근경색, 부정맥 등), 뇌졸중 등 질병에 의한 발생이 77.8%였으며, 추락, 운수사고, 목맴 등 질병 외에 의한 발생이 21.8%였다(그림 1 참고). 발생 장소별로는 도로/고속도로, 상업시설 등 공공장소(17.8%)보다 가정, 요양기관 등 비공공장소(64.0%)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특히, 비공공장소 중 가정에서의 발생이 전체의 45.1%를 차지하였다(그림 2 참고). 2.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및 뇌기능회복률 증가 추세 생존 상태로 퇴원한 환자 수(이하 ‘생존자’)는 1,527건으로 생존율은 9.2%(’23년 상반기
US 오픈에서는 아직도 사람이 직접 러프를 깎지만, 일반 골프장에서는 무인 로봇 잔디깎이가 빠르게 도입되고 있습니다. 자동화 기술이 골프장 관리에 가져올 변화, 영상에서 확인해보세요!
한국산업인력공단(이하 ‘공단’)은 19일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강남(서울 강남구)에서 내·외부 전문가, 옴부즈만 등을 초청하여 「직업능력개발 HRDK 미래지식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기업훈련의 미래를 조망하고, 변화하는 산업환경에 맞춰 사업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현장의 목소리와 사업 방향을 공유하는 장으로 마련됐다. 공단은 사업주와 근로자의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사업주훈련, 일학습병행, 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 등 다양한 직업능력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직업훈련 정보 접근에 어려움이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을 진단하고 맞춤형 훈련을 제공해 기업이 쉽게 훈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능력개발전담주치의를 운영하고 있다. 이우영 이사장은 “급변하는 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고객의 눈높이에 맞는 훈련사업 운영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며, “공단은 「전 국민 평생직업능력개발 상식의 시대」를 선도하겠다”라고 말했다.
미국 코네티컷주 크롬웰의 TPC 리버 하이랜즈에서 6월 20일(현지시간) 개막하는 2025 트래블러스 챔피언십은 PGA 투어 시즌 마지막 시그니처 이벤트로, 세계 최정상급 선수들이 총출동하는 프리미엄 대회다. 역사와 전통 이 대회는 1952년 인슈어런스 시티 오픈으로 출범해, 2007년부터 현재의 트래블러스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으로 개최되고 있다. 1984년부터는 TPC 리버 하이랜즈에서 열리고 있으며, 2016년에는 짐 퓨릭이 마지막 라운드에 PGA 투어 사상 최저타인 12언더파 58타를 기록한 역사적인 무대이기도 하다. 2017년에는 조던 스피스가 플레이오프에서 다니엘 버거를 상대로 벙커 샷을 성공시키며 우승하는 명장면을 남겼다. 역대 우승자 최근 5년간 우승자는 다음과 같다: 2024년: 스코티 셰플러 (미국), 2023년: 키건 브래들리 (미국), 2022년: 잰더 쇼플리 (미국), 2021년: 해리스 잉글리시 (미국), 2020년: 더스틴 존슨 (미국)이 우승을 차지했다. 2025 우승 후보 가장 강력한 우승 후보는 디펜딩 챔피언 스코티 셰플러다. 그는 올해 PGA 챔피언십, 메모리얼 토너먼트 등에서 우승하며 세계 랭킹 1위를 유지 중이다. 최근 US
[조우성 변호사의 골프 딥 다이브] 결함으로 완성된 공 딤플이 없다면 골프공은 날 수 없다?! 골프공 표면의 수백 개의 상처, ‘딤플’. 이 작은 함몰들이 어떻게 완벽한 궤적을 만드는지, 그리고 우리가 왜 불완전함 속에서 안정감을 느끼는지를 담았습니다.
위기상황에 놓인 모든 도민에게 가사, 주거 안전, 식사 지원 등의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경기도의 대표 돌봄 사업인 ‘누구나 돌봄’ 서비스가 오는 9월까지 누구나 돌봄 플랫폼 시범 운영을 거쳐 10월 도민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6월 중 ‘누구나 돌봄’ 사업에 참여 중인 29개 시군 가운데 6개 시군을 선정해 누구나 돌봄 신청부터 서비스 매칭, 사후관리, 맞춤형 돌봄 종합 정보 제공 등 전반적인 시범운영을 통해 안정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도는 점검과정을 거친 후 올 10월부터 29개 시군에서 플랫폼을 정식 운영할 계획이며, 경기도민은 시범운영 종료 후 10월부터는 ‘누구나 돌봄 플랫폼’에서 회원가입을 통해 누구나 돌봄 서비스를 온라인으로도 신청할 수 있다. 경기도민은 기존에는 직접 읍면동주민센터 방문 또는 전화로 신청했으나, 플랫폼이 10월 정식 운영되면 회원가입을 통해 ▲서비스 신청 ▲서비스 지원 ▲돌봄서비스 정보 현황 등을 확인하고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돌봄서비스 제공기관에서는 기존 수기로 작성하던 ▲일일서비스 제공일지작성 ▲서비스 조정신청 ▲서비스결과를 플랫폼 내에서 간편하게 작성하고 바로 제출할 수 있다. 읍면동(시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