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대한민국 노동정책이 대격변을 맞이하고 있다. 골프장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캐디, 코스관리, 현관 및 락카, 데스크 등 위탁 및 특수 고용 형태로 운영되는 분야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공인노무사 손주홍 박사의 강연 자료를 바탕으로, 이재명 정부의 주요 노동 정책 변화 7가지를 정리하고, 이에 대한 골프장의 대응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포씨유신문 노동정책 특집 시리즈로 만들려고 한다. [1] 노란봉투법: 골프장도 단체교섭의 당사자가 된다 [2] 포괄임금제 폐지 및 근로시간 기록 의무화 [3] 주 4.5일제 도입 [4] 법정 정년 65세 단계적 연장 [5] 캐디의 사회보험 확대 적용 [6] 근로자 추정 및 반증권 제도화 [7] 직장 내 괴롭힘 법제화 강화 포씨유 시선: 골프장이 살아남는 길 이제는 선택이 아닌 적응의 시대다."캐디는 단순한 외주 인력이 아닌, '노동정책 변화의 최전선에 선 주체'"이며,골프장 경영자와 교육자는 이 변화의 흐름을 먼저 이해하고, 미리 준비해야 한다.
2026년부터 캐디를 비롯한 고용보험 수급자는 실업급여 하한액이 상한액을 넘는 ‘역전’ 현상을 겪게 된다. 이는 최저임금 인상(2.9%)에 따라 하루 기준 6만 6048원, 월 기준 198만 1440원으로 지급되며, 지급 상한(현행 월 198만 원)을 넘어 모든 수급자가 동일한 실업급여 금액을 받게 될 가능성이 커졌다. 캐디가 알아야 할 실업급여 핵심 정리 항목 내용 적용 대상 골프장 캐디는 고용보험 당연가입자 (2022년 7월부터 적용) 가입 요건 최근 24개월 중 12개월 이상 가입 필요 이직 사유 비자발적 퇴사일 경우 수급 가능 (계약 종료, 골프장 운영 중단, 건강 문제 등) 신청 방법 퇴사 후 14일 이내 워크넷 등록 + 고용센터 신청 2026년 기준 실업급여 월 198만 1440원 지급 예정 (최저임금의 80%) 실업급여는 세금이나 4대 보험 공제 없이 ‘전액 수령’ 가능하다. “나는 프리랜서인데 받을 수
“17만 원을 내고도 설명은 없고, 말도 없고, 거리도 틀리고… 이건 뭔가요?” 골퍼 커뮤니티에는 요즘 캐디 서비스에 대한 불만 글이 끊이지 않는다. 캐디피는 오르고 있지만, 서비스 품질은 오르지 않는다는 ‘가격과 서비스의 불균형’이 문제다. 고객이 느끼는 불만 유형 3가지 유형 설명 서비스 미흡 거리 안내 오류, 코스 설명 부족, 골퍼 상황 무관심 소통 부족 말수가 너무 적거나, 태도가 딱딱해서 불쾌감 유발 전문성 결여 클럽 추천 실수, 퍼팅라인 이해 부족, 플레이 흐름 파악 미흡 골퍼는 단순 ‘클럽 셔틀’이 아닌, ‘경기 흐름을 도와주는 전문가’로서 캐디를 기대한다. 비싼 캐디피가 불만을 키우는 이유 불과 5~6년 전 10만 원 수준에서 시작된 캐디피는 수도권 기준 17만 원까지 오른 골프장이 등장하면서 기대치가 급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내가 낸 돈만큼의 역할이 있었다’고 느끼는 골퍼는 많지 않다. 일부 캐디는 직무에 대한 이해 부족, 무성의한 태도로 신뢰를 저하시킨다. “돈을 냈으면, 받
2025년 7월 10일(현지시간), 스코틀랜드 노스 베릭의 르네상스 클럽(파70, 7282야드)에서 제네시스 스코티시 오픈이 막을 올렸다. 총상금 900만 달러(우승 상금 140만 달러, GV70 전동화 모델)가 걸린 이번 대회는 디 오픈 챔피언십의 전초전으로, 세계 최정상급 선수들이 대거 출전했다. 1라운드 주요 결과 셉 스트라카(오스트리아), 제이크 냅(미국), 니코 에차바리아(콜롬비아), 빅타 페레스(프랑스)가 6언더파 64타로 공동 1위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김주형과 빅터 호블란(노르웨이) 등이 4언더파 66타로 공동 9위를 이루고 있으며, 안병훈은 스코티 셰플러 등과 3언더파 67타로 공동 14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 선수 활약 김주형은 최근 컷 탈락을 반복하던 흐름을 끊고 부활의 신호탄으로 버디 5개, 보기 1개를 묶어 4언더파로 공동 9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안병훈은 보기 없이 깔끔한 플레이로 3언더파로 지난해 공동 3위에 이어 링크스 코스의 강자로서의 면모를 재확인하고 있다. 임성재와 김시우는 이븐파로 공동 68위를 기록하고 있어서, 컷 통과를 위해 2라운드를 분발할 필요가 있다.
남자골프세계랭킹 상위 15위: 9위와 10위인 셉스트라카와 루드비그 오베리만 자리 바꿈 순위 추이 국가 선수 평균포인트 합계 출전한 대회 1 - 미국 스코티 셰플러 17.9426 735.64549 41 2 - 북아일랜드 로리 매킬로이 10.7943 496.53589 46 3 - 미국 잰더 쇼플리 6.9047 276.18821 39 4 - 미국 저스틴 토마스 6.1487 264.39360 43 5 - 미국 콜린 모리가와 6.0462 247.89268 41 6 - 미국 러셀 헨리 5.8949 235.79629 40 7 - 미국 키건 브래들리 4.9368 222.15460 45 8 - 미국 J.J. 스폰 4.8128 250.26613 54 9 1 스웨덴 루드비그 오베리 4.6849 220.18959 47 10 -1 오
최근 수도권 골프장 캐디피가 17만 원까지 인상되며, 지방 골프장도 14만 원~15만 원 사이에서 빠르게 가격이 오르고 있다. 골퍼 커뮤니티에서는 "캐디는 그대로인데 가격만 올랐다"는 불만도 나오지만, 포씨유신문은 이 흐름을 수요·공급의 원칙에 따른 구조적 결과로 본다. 캐디피 인상의 구조: “경쟁이 낳은 고가 보상” 캐디는 골프장의 직원이 아니라 고객에게 직접 고용되어 비용을 받는 형태이다. 특히 수도권 골프장은 여성 캐디 선호 경향이 강한데, 여성 캐디가 구직 시 가장 먼저 보는 조건이 바로 ‘캐디피’다. 수요공급 공식 ✅ 골프장 캐디 모집: 인력 부족 → 더 많은 보상 제시 ✅ 캐디: 캐디피 높은 곳으로 이동 ✅ 다른 골프장: 경쟁적으로 캐디피 상향 결과: 전체 시장에서 캐디피는 오를 수밖에 없음 고객의 이중 반응: “비싼 캐디, 그런데 왜 불편하지?” “캐디 역할을 잘 하면, 더 줘도 아깝지 않다. 그런데 질이 낮은 캐디에게도 17만 원 주는 것은 아깝다. 차라리 노캐디 골프장을 가겠다” 실제로 캐디피만 오르고 서비스 질은 제자리라는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하면서 고객들의 불만이 터지기 일보 직전이다. 캐디가 전문가라는 인식 자체를 받아들이기 어려워하는
2025년 7월 5일, 이진주 아나운서가 ‘2025 대한민국 엔터테이너 대상’을 수상했다. 해당 상은 대한민국엔터테인먼트협회가 주관하며,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방송인·연예인·공연인에게 수여되는 권위 있는 상이다. 수상 배경: “문화예술 공헌 발전에 크게 기여” 수상 인증서에는 다음과 같은 문구가 담겼다. “귀하는 대한민국 문화예술 공헌발전에 크게 기여하여 왔으며, ‘2025 대한민국 엔터테이너 대상’에 선정되어 이 상을 수여합니다.” 이는 단순한 방송 출연 이상의 활동, 즉 교육·행사·공공 콘텐츠 제작 등 다방면에서의 기여를 인정받은 결과다. 활동 이력: 방송을 넘어, 말의 가치를 전하는 사람 분야 주요 활동 방송 CJ 사내방송 진행, 민방위·전기공사협회 교육영상 아나운서, 산업일보 기자 등 행사 문화체육관광부 워크숍, 스마트건설 투자설명회, 구청 공연 사회 등 교육 광운대·부개여고·인천시교육청 등에서 스피치·미디어 강의 진행 홍보 한국관광공사·유신투자증권·모비피트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