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캐디의 심장 건강, 왜 중요할까? - 장시간 야외 활동 → 체온 변화와 탈수 위험 - 고객 응대 중심의 감정노동 → 스트레스 증가 - 불규칙한 식사·수면 → 심장 질환 위험 요인 누적 - 고령 캐디 증가 → 심부전·부정맥 등 만성질환 노출 “캐디는 경기의 일부이자, 고객과 현장을 연결하는 전문직입니다. 건강은 곧 생계와 직결되는 생존의 조건입니다.” – 포씨유 건강팀 2. 심장 건강을 위한 일상 수칙 ✅ 식습관 관리 붉은 육류·가공식품 섭취 줄이기 과일·채소 중심 식단 유지 염분·당분 과다 섭취 피하기 ✅ 운동 습관 주 3회 이상,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 걷기·자전거·골프장 내 스트레칭 등 무리한 근력 운동은 피하기 ✅ 수면과 휴식 하루 6~8시간 충분한 수면 라운드 후 반드시 휴식 시간 확보 야간 근무 후 회복 시간 확보 ✅ 스트레스 관리 고객 응대 후 감정 정리 시간 갖기 동료와의 소통으로 긴장 완화 필요시 심리상담 서비스 활용 3. 캐디를 위한 건강검진 체크리스트 항목 권장 주기 설명 혈압 측정 월 1회 고혈압 조기 발견 심전도 검사
질병관리청이 2025년 9월 18일 발표한 ‘급성심장정지 예방을 위한 근무환경 개선 권고’는 매년 3만 건 이상 발생하는 심장정지 사고에 대해 직장 내 예방관리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한 조치다. 이번 발표는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병원 차경철 교수팀의 정책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심장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과 근무 형태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것이다. 1. 급성심장정지, 왜 위험한가? 급성심장정지는 심장 기능이 갑작스럽게 멈추며 혈액순환이 중단되는 응급 상황으로 적절한 대처가 없을 경우 수 분 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국내 급성심장정지 발생 건수는 2013년 29,356건에서 2023년 33,586건으로 매년 3만 건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 2. 주요 위험 요인 질환 발생 위험 증가율 (조정 승산비) 심부전 22.6배 심근경색 8.55배 부정맥 2.79배 뇌졸중 2.85배 당뇨병 1.63배 고혈압 1.55배 “이들 질환을 가진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급성심장정지 발생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 – 연구팀 3. 근무환경과의 연관성 - 야간·저녁 근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