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씨유신문 기획 시리즈] 《K-골프, 세계를 유혹하다》 3부 “위기의 한국 골프장, 왜 골퍼는 떠나는가?”
코로나 시기의 그린피 급등, 신규 골퍼 유입 정체… 구조적 위기와 생존 전략 2020년대 초반, 코로나19 팬데믹은 한국 골프 산업에 예상치 못한 호황을 안겼다. 해외여행이 막히고 실외 스포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골프장은 연일 만석이었다. 하지만 그 호황은 일시적 착시였고, 2025년 현재 한국 골프장은 가격·콘텐츠·인구 구조의 삼중 위기에 직면해 있다. 1. 코로나 시절의 그린피 급등, 그 후유증 - 2020~2022년 사이, 수도권 골프장의 그린피는 30~50% 이상 상승 - 일부 골프장은 주중 30만 원, 주말 40만 원 이상의 요금 책정 - 골퍼들은 “골프가 사치가 됐다”는 인식 확산 - 팬데믹 이후에도 요금 인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음 “코로나 때는 어쩔 수 없이 올랐지만, 지금은 그 가격에 걸맞은 콘텐츠가 없어요.” – 50대 골퍼 인터뷰 2. 신규 골퍼 유입 정체 - 2020~2021년 신규 골퍼 급증: MZ세대·여성 골퍼 중심 - 2023년 이후 신규 유입 둔화, 골프 입문 비용 부담이 주요 원인 - 골프장 예약 경쟁·비회원 차별·캐디 의무화 등 진입 장벽이 여전히 높음 연도 신규 골퍼 수 특징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