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의 토리파인스 골프클럽 노스코스(파72)에서 열린 PGA 투어 파머스 인슈런스 오픈(총상금 930만 달러) 최종 라운드에서 임성재는 보기 3개와 버디 4개를 묶어 1언더파 71타, 최종합계 5언더파 283타로 공동 4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PGA 투어 개막 경기인 더 센트리에서 단독 3위를 기록했던 임성재는 파머스 인슈런스 오픈을 공동 4위로 마감함으로써 2025시즌 우승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3라운드 공동 4위로 마감하면서 우승에 대한 기대를 갖게 했던 이경훈은 4라운드에서 보기 5개와 버디 2개를 묶어 3오버파 75타를 기록하며, 최종합계 2언더파 286타로 공동 9위를 기록하며 진한 아쉬움을 남겼다. 1위는 미국의 해리스 잉글리쉬가 8언더파 280타, 2위는 미국의 샘 스테븐스가 7언더파 281타, 3위 미국의 앤드류 노박은 6언더파 282타를 기록했다.
24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의 토리파인스 골프클럽 노스코스(파72)에서 열린 PGA 투어 파머스 인슈런스 오픈(총상금 930만 달러) 3라운드에서 이경훈은 보기 2개와 버디 6개를 묶어 4언더파 68타, 중간합계 5언더파 211타로 12계단 오른 공동 4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1위 미국의 해리스 잉글리쉬는 중간합계 9언더파 207타, 2위 미국의 앤드류 노박은 8언더파 208타로 이경훈은 최종 라운드 결과에 따라 우승도 노려볼 수 있게 되었다. 2라운드를 공동 4위로 마친 임성재는 3라운드에서 보기 3개와 버디 3개를 묶어 이븐파를 기록하면서 중간합계 4언더파 212타로 공동 8위에 랭크되어 있다.
지난 23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의 토리파인스 골프클럽 노스코스(파72)에서 열린 PGA 투어 파머스 인슈런스 오픈(총상금 930만 달러) 2라운드에서 임성재는 10번 홀에서 시작하면서 버디를 기록하면서 기분 좋은 출발을 알렸지만, 12번홀, 13번홀, 14번홀을 연속으로 보기를 기록했지만, 후반 5번홀과 7번홀, 9번홀에서 3개의 버디를 기록하며, 1언더파 71타 중간합계 4언더파 140타로 미국의 헤이든 스프링어와 크리스 갓터업과 함계 공동 4위를 기록하고 있다. 스웨덴의 루드비그 오베리와 미국의 란토 그리핀이 6언더파 138타로 공동 1위를 달리고 있다. 1라운드에서 5언더파 67타 공동 8위로 기분 좋게 대회를 시작한 이경훈은 2라운드에서 더블보기 2개와 보기 2개, 버시 2개를 묶어 4오버파 76타, 중간합계 1언더파 143타로 공동 26위에 올라있다. 김시우는 중간합계 3오버파 147타, 김성현이 7오버파 151타로 컷 탈락이 예상된다.
한국소비자원(이하 ‘소비자원’)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국표원’)은 자발적 리콜 중인 ㈜위니아 딤채 노후 김치냉장고(2005년 9월 이전 생산 뚜껑형 모델)에서 화재사고가 계속 발생*하고 있어, 해당 제품 사용자는 즉시 리콜 조치를 받을 것을 재차 당부했다. 노후 김치냉장고 화재사고는 2020년 12월 21건, 2021년 198건, 2022년 163건, 2023년 156건, 2024년 121건으로 2020년 12월 리콜 시행 이후, 소비자원과 국표원은 리콜 이행률 제고를 위해 수년간 전국 지자체, 전기안전공사, 도시가스협회 등과 협력하여 다양한 방법으로홍보하였으나, 리콜 시행 이후 발생한 화재사고 피해자 대부분이 정보 접근성이 낮은 60대 이상 고령층으로 확인되고 있어, 가족, 친지 등 주위의 관심과 도움이 절실한 상황이다. 리콜 시행 이후 발생한 총 659건 화재 중 60대 이상에서 457건(69.3%) 발생했다. 소비자원과 국표원 관계자는 “이번 설 연휴에 고향 방문하실 때 부모님과 친지 댁 김치냉장고가 리콜 대상인지 점검하고, 리콜 대상 제품이라면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제조사로 연락하여 신속하게 안전조치를 받아 달라”고 강조했다. ▶ 위니
국세청이 장애인 근로자의 편리한 연말정산을 위해 간소화서비스 개선 내용과 맞춤형 연말정산 정보를 알려주고 있다. 노인・장애인 보장용구 구입비용 자료를 국민건강보험과 한국장애인고용공단으로부터 수집하여 올해부터 간소화 서비스에서 제공한다. 기존에는 근로자가 판매업체에서 영수증을 발급받아 회사에 수동 제출하였으나 올해부터 간소화 서비스에서 자료 조회・내려받기가 가능하다. 장애인이 다양한 소득・세액공제 항목을 놓치지 않도록 핵심 내용을 간추려 알려드리니, 누락된 항목이 없는지 한 번 더 확인하기 바란다. 특히, 이번 연말정산부터 장애인의 일상생활 지원을 위해 식사도움, 이동지원 등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급여비용 중 실제 지출한 본인부담금에 대한 의료비 세액공제 혜택을 받으실 수 있다. 연말정산 종합안내를 받으려면, 국세청(www.nts.go.kr)에 로그인한 후 국세신고안내⇨개인·법인신고안내⇨연말정산종합안내를 받을 수 있다. 국세상담센터를 이용하시려면, 국번 없이 126→0번→1번(종합 안내), 2번(자주 묻는 질문․답변), 0번(상담사 연결)을 선택해서 상담받을 수 있다.
법무부는 21일, 국내대학을 졸업하고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한 외국인 유학생에게 특정활동(E-7) 비자를 최초로 발급하였다고 밝혔다. 특정활동 비자는 법무부 장관이 특별히 지정한 90개 직종에 한하여 외국인의 취업활동을 허용하는 비자이다. 특정활동 비자를 받은 외국인은 2018년 국내 대학에서 유학을 시작하였으며, 졸업 후 구직(D-10) 비자로 체류 중 2024년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하여, 노인요양시설인 장기요양기관에 취업하였다. 2024년 7월 법무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돌봄인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특정활동(E-7) 취업비자에 ‘요양보호사’ 직종을 신설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요양분야 취업을 허용하였다. 직종 신설 이후 국내 대학에 ‘외국인 요양보호사 과정’이 신설되는 등 요양보호 분야 외국인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번 비자발급을 계기로 요양보호 분야 우수 외국인력 진입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법무부는 보건복지부 및 관계단체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돌봄인력 부족에 대응하여 국민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비자제도 개선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정활동(E-7) 비자는 5종으로 분류된다. 전문직종(E-7-1)으로 기업고위
우리나라 개발협력 대표기관인 코이카(KOICA·한국국제협력단)에서 글로벌 사회적 가치를 실천할 인재를 모집한다. 이번에 모집하는 2025년 1차 ‘KOICA 코디네이터’는 코이카 해외사무소에서의 업무수행을 통해 개발협력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프로그램으로, 현지에서 근무하는 기간은 최대 23개월이다. 파견 국가는 36개국으로, △네팔 등 아시아 13개국 41명 △가나 등 아프리카 12개국 26명 △과테말라 등 중남미 7개국 17명 △요르단 등 중동·CIS 4개국 10명 등 총 94명을 선발한다. 코이카 코디네이터의 담당 직무는 코이카의 국별 협력사업, 글로벌 연수사업, 글로벌 인재 양성사업, 혁신적 개발 협력사업, 시민사회 협력사업 등 개발협력 업무 전반을 지원함으로써 우리 정부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성과 창출 및 업무 효율성 제고에 기여하는 것이다. 지원 자격은 2025년 6월 이후 해외사무소에 파견돼 근무할 수 있는 자로써 국제개발협력 분야 1년 이상 경력자와 TOEIC 750점, TOEIC Speaking IM2 등급, OPIc IM2, NEW TEPS 285점, TOEFL (IBT) 85점 이상의 공인 어학성적을 보유한 자다. 선발 전형은 ‘서류-
남자골프세계랭킹 상위 15위 순위 추이 국가 선수 평균포인트 합계 출전한 대회 1 - 미국 스코티 셰플러 15.4450 617.80064 40 2 - 미국 잰더 쇼플리 8.9778 377.06594 42 3 - 북아일랜드 로리 매킬로이 7.2758 349.06594 48 4 +1 일본 히데끼 마쯔야마 5.8156 261.70160 45 5 -1 미국 콜린 모리가와 5.8007 255.23019 44 6 - 스웨덴 루드비그 오베리 5.2951 211.80300 40 7 - 미국 윈덤 클락 4.2935 201.79635 47 8 +9 영국 티렐 해톤 4.0455 161.81963 37 9 -1 노르웨이 빅터 호블란 3.9186 160.66342 41 10 +2 미국 패트릭 캔틀레이 3.6170 144.68
국세청은 주택자금 소득·세액공제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을 엄선하여 내 집 마련을 준비하는 근로자와 이미 보금자리를 마련한 근로자 모두가 궁금해 하는 내용을 모아 안내해 주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연말정산부터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에 대해 최대 2천만원 까지 소득공제 받을 수 있으며, 총급여 8천만원인 근로자의 월세도 최대 15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요건이 완화되는 등 주택자금 관련 연말정산 혜택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근로자 5명 중 1명 꼴로 적용받고 있는 주택자금 소득·세액공제를 정확하게 신고하여 공제 혜택을 놓치지 마시기 바라며, 2023년 귀속 연말정산 시 근로자 2,085만 명 중 422만 명(20.2%)이 공제신고를 하고 혜택을 받았다. 이번 연말정산에도 국세청은 주택자금공제 요건 완화·한도 상향과 같은 세정지원책을 충실하게 집행하는 등 적극행정을 실시하고 있다. 주택자금·월세액 공제에 관해 더 궁금하신 사항은 국세청 누리집의 연말정산 종합안내를 참고하고, 국세상담센터를 이용 시 AI를 이용한 24시간 전화 상담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종합안내를 받으려면, 국세청(www.nts.go.kr)에 로그인한 후 국세
국세청은 "혼인·출산·육아의 경우 적용되는 생소한 공제항목과 어렵게 느껴지는 주택자금공제로 신고가 막막한 근로자, 그리고 장애인 부양가족의 연말정산을 돕고자 3회에 걸쳐 주제별 원포인트 안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먼저, 부부로서 하는 연말정산은 아직 낯선 신혼부부를 위해 혼인과 출산을 지원하는 연말정산 공제 혜택과 적용 요건을 공지했다. 지난 2024부터 2026년까지 혼인신고한 부부는 배우자와 각각 50만원씩 총 100만원까지 세액공제 받을 수 있도록 결혼세액공제가 신설되었다. 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혼인신고를 해야 한다. 배우자가 간소화자료 제공에 동의하면 배우자의 보험료·의료비·기부금 등을 확인하고 연말정산 때 활용할 수 있다. 이번 연말정산부터 부양가족 공제 오류를 예방하기 위해 배우자의 ’24년 상반기 소득금액이 100만원(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 500만원)을 초과하면 간소화자료 제공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다만, 소득제한 없이 공제되는 의료비와 소득기준을 초과해도 취업 등의 사유 발생일까지 공제 가능한 교육비·보험료 자료는 전부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