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씨유신문 칼럼] '지겨운' 골프 비용 구조, 캐디 선택제가 아닌 '전문가 캐디 제도화'가 해법이다
최근 JTBC GOLF 유튜브 채널에서 다뤄진 '지겨운 카트비 캐디피, 이제는 대중을 위한 제도가 필요하다'는 주제는 한국 골프 산업의 구조적 모순을 다시 한번 수면 위로 끌어올렸습니다. 해당 영상의 핵심 논의는 카트비의 과도한 가격, 높은 캐디피와 캐디 선택제의 필요성, 그린피 조정의 필요성, 그리고 법인카드 사용 문제 등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 제기에 대한 논의와 함께, 우리는 캐디피 상승의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캐디 직업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합니다. 1. 골프 대중화의 적(敵), 과도한 카트비와 리무진 카트 카트비가 너무 높다는 의견에는 전적으로 동의하며, 카트비 인하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카트비는 6개월이면 감가 상각이 끝나야 하지만, 골프장들은 갖가지 핑계로 가격을 계속 올리고 있습니다. 카트비 수입은 2024년 기준 1조 50억 원으로, 전체 골프장 매출액의 16%를 차지하는 중요한 수입원이며, 이 때문에 골프장들은 돈벌이를 위해 카트 회전율을 높이려 합니다. 심지어 카트는 1~2년 사이에 투자금을 모두 회수할 정도로 수익성이 높기에, 골프장 오너가 별도의 회사를 만들어 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