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노펠리체CC 스윙챌린지 첫 번째 영상 소노펠리체CC 스윙챌린지 두 번째 영상 소노펠리체 cc에서는 교육자 뿐만 아니라 선배가 후배 양성을 위해 직접 나서는 모습에 대하여 제보하고 싶어 올려 봅니다. 골퍼와 캐디 두가지 역할을 하면서 후배 양성에 힘을 쓰는 우리 소노펠리체 경력 캐디들의 멋진 스윙 모습입니다.
[아힘골프]는 골프상식이 풍부한 캐디들을 만들기 위해서 기획되었습니다. 캐디들에게 '아는 만큼 힘이 되는 골프 상식'이 될 수 있도록 잘 알려지지 않은 골프 역사부터 골프 시사 상식까지 조심스럽게 다루어 볼 예정입니다. 연재 중간에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desk@golfnpost.com으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골프앤포스트=김대중 기자] 1657년은 미국에서 골프가 처음으로 기록에 등장한 해다. 뉴욕 알바니(Albany)에서 술 취한 두 명의 남자와 골프 볼과 관련된 사건이 발생했다는 신문기사다. 그 후 약 1백년이 지나 사우스캐롤라이나 찰스톤(Charleston)의 데이비즈 디아스(Mr. David Deas)에게 432개 골프공과 96개의 골프 클럽에 대한 선적 기록이 남아있고, 1743년까지 미국에서 골프와 관련된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1743년에 조지아주 사바나(Savannah)에서 골프 협회를 설립한다는 소문도 있었다. 미국 최초의 골프장은 1888년 뉴욕 욘커(Yonkers)에 만들어졌다. 골프장 이름은 골프의 고향이라고 일컬어지는 스코틀랜드 골프장 이름을 그대로 따온 세인트 앤드류스 골프 클럽(St. Andrews Golf C
[골프앤포스트=장재식 프로] 스윙 아크를 크게 하려다 생기는 오동작 _ 필 리츤은 스윙하는 동안 스윙의 아크를 최대한 크게 할 것을 강조한다. 그래야 비거리를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다수의 아마추어 골퍼에게 이러한 주문을 하면 두 가지 실수를 저지른다. 첫째, 과도한 몸동작으로 생기는 '스웨이'다. 의식적으로 스윙 아크를 크게 하려다 보니 몸 전체가 우측(오른손잡이의 경우)으로 가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결국엔 임팩트가 일정치 못하게 되어 미스 샷이 발생하고 만다. 몸의 축은 그대로 고정한 채 스윙 아크를 넓히기 위한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 백스윙을 하는 동안 왼손 엄지 위에 있는 오른손 생명선을 바깥으로 밀어주면서 오른쪽 팔꿈치를 펴는 것이다(위 왼쪽 사진). 동시에 왼 손목은 안쪽으로 꺾어 팔과 손목이 90도 앵글을 유지하도록 한다. 두 번째 오류는 다운스윙에서 발생한다. 스윙 아크를 크게 하려고 코킹을 풀어 버리는 것이다. 코킹이 풀리게 되면 비록 스윙의 아크는 커질지라도 파워를 잃게 된다. 가장 바람직한 모습은 다운스윙 때도 왼팔과 손목 각도가 90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평상시 다음 연습으로 코킹 감각을 익힐 수 있다. 왼손목을 최대한 꺾고
[골프앤포스트=장재식 프로] 아이스크림 스쿱’ 이해 _ 최경주의 스윙 코치이기도 했던 필 리츤은 ‘아이스크림 스쿱’이라는 샷을 개발한 것으로 유명하다. 아이스크림 스쿱이란 말 그대로 ‘국자로 아이스크림을 퍼내는’ 듯한 느낌으로 샷을 하는 것을 말하며 볼이 ‘에 그 프라이(egg fry, 모래 속에 볼이 푹 박힌 상태)’ 됐을 때 유용하며 아무리 깊게 박혀 있는 볼이라도 모두 탈출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 샷을 할 때 아마추어 골퍼가 많이 하는 실수 두 가지가 있다. 두가지 모두 일반 벙커 샷과는 다른 셋업 때문에 발생한다. 아이스크림 스쿱샷을 하기 위해서는 셋업 때 클럽 페이스가 왼쪽 신발을 바라봐야 한다. 그러나 많은 골퍼가 그렇게 하면 볼이 목표물보다 왼쪽으로 갈 것이라 생각해 페이스를 스퀘어로 하는 것이 실수의 하나다. 페이스를 왼쪽 신발 쪽을 바라보게 하는 것은 스쿱 샷에서는 임팩트 때 토가 먼저 지면을 파고 들어가면서 모래와의 저항으로 페이스가 스퀘어가 되기 때문이다. 또 스쿱 샷은 국자로 아이스크림 퍼내듯이 볼 주변의 모래를 깊숙이 떠내야 하는데 일반 벙커 샷처럼 페이스를 오픈하고 여기다 바운스까지 이용하려 하는 것이 다른 실수다. 페이스를 오픈해
[캐디실무교육]은 신입캐디가 어떤 교육을 받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이다. 지난 5년간 신입캐디 교육을 실시하면서 만들어 낸 체계화된 내용을 담을 예정이며, 캐디자격증 시험에 들어가는 이론과 실무에 바탕이 되는 내용이다. 정부가 NCS 캐디직무교육을 만들었다면, (주)포씨유는 캐디실무교육을 만들었다. 이 연재를 통해서 캐디가 쉽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많은 노력을 통해서 만들어진다는 시실을 누구나 알았으면 한다. 연재 순서 1부 캐디가 하는 일 2부 캐디와 골프 상식 - 1주차 캐디가 알아야 하는 골프 상식 - 2주차 캐디만 아는 골프 상식 3부 실전 캐디되기 - 3주차(캐디되기 1단계) 근무준비 및 기초업무 - 4주차(캐디되기 2단계) - 5주차(캐디되기 3단계) - 6주차(캐디되기 4단계) - 7주차(캐디되기 5단계) - 8주차(캐디되기 6단계) 4부 캐디와 골프 통계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기계가 사람을 대신하는 사회가 오고 있다. 캐디가 로봇 캐디에 밀려 골프장에서 사라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캐디가 골프장에서 사라지지
[아힘골프]는 골프상식이 풍부한 캐디들을 만들기 위해서 기획되었습니다. 캐디들에게 '아는 만큼 힘이 되는 골프 상식'이 될 수 있도록 잘 알려지지 않은 골프 역사부터 골프 시사 상식까지 조심스럽게 다루어 볼 예정입니다. 연재 중간에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desk@golfnpost.com으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2022년 7월 10일(일)부터 7월 17일(일)까지 디오픈이 골프의 고향 세인트 앤드류스 올드 코스에서 열린다. 1860년 프레스트윅에서 단 8명의 선수가 출전했고, 윌리 파크 시니어와 올드 톰 모리스가 우승경쟁을 했던 그 해로부터 150번째다. 이에 아힘골프에서 디오픈에 관련된 잡다한 상식을 전달하고자 한다. 디오픈 1회 대회는 1860년 프레스트윅(Prestwick)에서 열렸고, 프레스트윅에서 12회(1872) 대회까지 열렸다. 13회(1873) 대회부터는 세인트 앤드류스, 머셀버러, 프레스트윅이 번갈아 가면서 31회(1891) 대회까지 개최되었다. 1회 대회는 윌리 파크 시니어(Willie Par Sr.)가 우승하고, 2회와 3회는 올드 톰 모리스(Old Tom Morris), 4회는 또 다시 윌리 파크 시니어가, 5회는 올드
[골프앤포스트=장재식 프로]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골프에서는 ‘반’으로는 부족하다. 자신이 원하는 대로 볼을 보내기 위해서 셋업은 반이 아니라 7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특히 퍼팅은 볼을 똑바로 굴리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스윙을 하면서 일어나는 문제보다 셋업을 하면서 일어나는 문제가 더 심각하다. 이번 호에서는 퍼팅 셋업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지나치게 웅크리거나 일어서 있다 퍼팅을 할 때 지나치게 몸을 웅크리거나 일어선 자세는 그리 좋은 자세가 아니다. 퍼팅을 할 때 좋은 자세는 하체가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면서 스트로크 할 때 팔과 몸이 일체감 있게 움직이는데 전혀 거슬림이 없는 자세다. 만일 너무 웅크려 있다면 몸은 고정되지만 팔과 몸이 협응하며 움직이는 데는 방해가 된다. 반대로 너무 서 있다면 팔과 몸이 부드럽게 움직이겠지만 하체가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각도를 찾아 여기에 맞는 길이의 퍼터를 써야 한다. <본 기사는 에이스회원권이 조세금융신문에 제공한 자료를 토대로 재 편집해 게재합니다. 본지는 조세금융신문과 기사제휴를 맺고 콘텐츠를 제공받고 있습니다.>
[골프앤포스트=장재식 프로]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골프에서는 ‘반’으로는 부족하다. 자신이 원하는 대로 볼을 보내기 위해서 셋업은 반이 아니라 7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특히 퍼팅은 볼을 똑바로 굴리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스윙을 하면서 일어나는 문제보다 셋업을 하면서 일어나는 문제가 더 심각하다. 이번 호에서는 퍼팅 셋업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늘 왼쪽 눈 밑에 볼을 놓는다 퍼팅에서 범하기 쉬운 이러한 오류 중 하나는 바로 볼의 위치다. 대부분 습관처럼 볼을 왼쪽 눈 밑에 놓을 것이다. 하지만 사람에게는 양쪽 눈 중 주(主)가 되는 눈이 있다. 그리고 대개 오른쪽 눈이 주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는 왼쪽 눈 밑에 볼을 두지만, 고개를 돌려 라인을 볼 때는 주시인 오른쪽 눈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미세하게 라인을 보는 각도가 변하게 되어 라인을 더 보거나 덜 보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기사는 에이스회원권이 조세금융신문에 제공한 자료를 토대로 재 편집해 게재합니다. 본지는 조세금융신문과 기사제휴를 맺고 콘텐츠를 제공받고 있습니다.>
[골프앤포스트=장재식 프로]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골프에서는 ‘반’으로는 부족하다. 자신이 원하는 대로 볼을 보내기 위해서 셋업은 반이 아니라 7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특히 퍼팅은 볼을 똑바로 굴리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스윙을 하면서 일어나는 문제보다 셋업을 하면서 일어나는 문제가 더 심각하다. 이번 호에서는 퍼팅 셋업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스트로크에서 손 감각이 전환된다 흔히 퍼팅 스트로크를 할 때 ‘백스윙은 왼손, 다운스윙은 오른손’이라는 생각을 많이 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 퍼팅 스트로크는 왼손이든 오른손이든 한쪽 손의 감각으로 할 때 거리감이 일정해지고 정교함과 일관성이 더 높아진다. 타이거우즈 역시 자신은 퍼팅스트로크를 오른손의 감각으로만 한다고 밝힌바 있다. 물론 오른손으로만 퍼팅을 하는 것이 정답은 아니다. 개인의 특성에 따라 오른손보다는 왼손의 감각으로 퍼팅을 할 때 더 일관성이 있다면 왼손 감각을 최대한 살려 퍼팅하면 된다. 중요한 것은 퍼팅스트로크를 하면서 손감각의 전환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만일 백스윙할 때는 왼손, 다운스윙할 때는 오른손이 된다면 ‘리듬의 균형’을 잃게 되어 생각한
[아힘골프]는 골프상식이 풍부한 캐디들을 만들기 위해서 기획되었습니다. 캐디들에게 '아는 만큼 힘이 되는 골프 상식'이 될 수 있도록 잘 알려지지 않은 골프 역사부터 골프 시사 상식까지 조심스럽게 다루어 볼 예정입니다. 연재 중간에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desk@golfnpost.com으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골프 모임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 클럽(Club)이라는 뜻은 골프장이면서 동시에 모임(동아리, 협회)이라는 뜻을 혼용해서 사용하였다. 스코틀랜드 골프 역사 기록에 의하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골프 클럽은 1735년에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더 로얄 버지스 골핑 소사이어티(The Royal Burgess Golfing Society of Edinburgh)이며, 이와 버금가게 오래된 모임은 1744년 소수의 골퍼들이 함께 모여서 ‘에든버러(Edinburgh) 골퍼들의 명예로운 모임(the Honourable company)’라고 불리우는 모임이다. 에든버러는 스코틀랜드 수도다. 에딘버러 골프협회는 같은 에든버러에 있는 버지스 골프 소사이어티와 함께 가장 오래된 골프 협회(Golf Society)다. 당시 에든버러 골프 협회도 단순히 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