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디실무교육]은 신입캐디가 어떤 교육을 받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이다. 지난 5년간 신입캐디 교육을 실시하면서 만들어 낸 체계화된 내용을 담을 예정이며, 캐디자격증 시험에 들어가는 이론과 실무에 바탕이 되는 내용이다. 정부가 NCS 캐디직무교육을 만들었다면, (주)포씨유는 캐디실무교육을 만들었다. 이 연재를 통해서 캐디가 쉽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많은 노력을 통해서 만들어진다는 시실을 누구나 알았으면 한다.
연재 순서 1부 캐디와 골프 상식 - 기초1단계: 캐디가 알아야 하는 골프 상식 - 기초2단계: 캐디만 아는 골프 상식 2부 실전 캐디되기 - 실습 1단계: 캐디 업무 몸으로 익히기 - 실습 2단계: 거리 불러주기 - 실습 3단계: 클럽 매칭 - 실습 4단계: 클럽 서브 - 실습 5단계: 경기 진행 - 실습 6단계: 그린 서브와 스코어 계산하기 3부 캐디와 골프 통계 |
둘째, 클럽 서브하기
플레이어에게 클럽을 어떻게 전달하는 것이 서로 효과적인지 알아야 한다. 즉, 플레이어가 우드를 달라고 했을 때와 아이언, 퍼터를 달라고 했을 때 어떤 의도를 가지고 있고, 클럽을 받은 후 그 다음 행동이 어떤지도 알아야 한다.
이 부분을 알아야 클럽 핸들링이 된다.
클럽을 플레이어에게 전달 할 때 오른손으로 클럽을 전달하고 받을 때도 오른손으로 클럽을 받아야 한다. 클럽을 주고 받을 때는 플레이어에게 사용할 클럽을 먼저 준 후 플레이어가 사용한 클럽을 받아야 오른손이 비어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클럽을 먼저 주고 받는다.
클럽 핸들링할 때, 서브하는 손은 오른손, 서브해야 할 클럽은 왼손, 받은 클럽이거나 나중에 서브할 클럽은 왼쪽 팔뚝에 파지해야 편하게 서브할 수 있다.
[그림 4-4]는 그린에서 퍼터를 전달할 때 핸들링 방법이다. 오른손에 들린 퍼터는 지금 플레이어에게 전달할 퍼터이며, 왼손에 들려 있는 퍼터는 다음 플레이어에게 전달할 퍼터다. 왼쪽 팔뚝에 걸쳐져 있는 클럽은 플레이어가 사용한 후에 캐디에게 전달한 아이언과 어프로치를 모아놓은 것이다.
경우에 따라 왼 팔뚝에 있는 클럽을 왼손으로 옮겨야 할 때가 있고 왼손에 있는 클럽을 오른손으로 빼서 플레이어에게 서브할 때도 있는데 이렇게 왼 팔뚝에 있는 클럽을 오른손으로 빼서 자연스럽게 플레이어에게 전달하는 일이 익숙해져야 클럽을 떨어뜨리지 않고 수월하게 핸들링하면서 서브할 수 있다
왼 팔뚝에 8개 이상의 클럽이 있을 때가 있는데, 이 클럽 중에서 플레이어가 필요한 오른손으로 빼서 전달해야 할 때가 있다. 이 때 클럽을 강제로 앞으로 빼내면 절대로 빠지지 않는다. 왜냐면 왼 팔뚝에 클럽을 놓을 때, [그림 4-4]처럼 그립이 뒤로 가고 헤드가 앞으로 오기 때문에 뒤에 있는 그립끼리 밀착되어서 앞으로 잘 빠지지 않는다.
뭉쳐져 있는 클럽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클럽을 오른손으로 빼는 방법은 해당 클럽을 뒤로 밀어서 옆으로 빼내는 방법이다.
처음에는 어렵지만 방법만 깨닫는다면, 클럽 핸들링 숙련도를 높일 수 있고, 업무가 편해지려면 핸들링 숙련도를 높여야 한다.
플레이어는 자신만의 거리를 가지고 있다.
비거리별 어떤 클럽을 사용할 지는 캐디가 어드바이스하고 플레이어가 결정한다. 지금 단계에 있는 인턴 캐디는 플레이어에게 거리를 불러 주고 플레이어가 어떤 클럽 또는 몇 번을 달라고 하는 지 듣고 플레이어가 원하는 클럽을 전달하면 된다.
이러한 상황이 점차 익숙해지면 인턴캐디는 머리 속으로 계속해서 생각하고 고민해야 한다.
‘내가 부른 거리에 플레이어가 몇 번 클럽을 달라고 했는지’를 기억해야 클럽 매칭하는 시간을 줄여나갈 수 있다.
즉, 내가 130미터를 부를 때 플레이어가 7번 아이언을 달라고 했다면, 이 플레이어는 남자 평균 거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준점으로 해서 클럽별 거리를 익혀야 한다.
그런데, 인턴 캐디와 같은 경우 9홀 전반이 끝나도 플레이어가 몇 미터에서 몇 번으로 쳤는지 기억 못할 수 있다. 경력캐디들은 최소한 전반 3홀 안에 플레이어의 거리에 따른 클럽을 기억하고 매칭해야한다. 처음에는 어렵겠지만 이렇게 해야 선서브도 할 수 있고, 클럽 어드바이스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플레이어가 사용한 클럽에는 잔디와 흙과 같은 것이 묻어 있어서 물로 닦아 줘야 한다.
카트 뒤에 물이 담긴 세척 통과 세척 솔이 항시 비치되어 있기 때문에 클럽 클리닝을 해야 하는데, 클리닝 시기는 캐디가 선호하는 시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클럽이 더러워질 때마다 하는 캐디
홀 중간 세컨에서 클리닝하는 캐디
홀 아웃하고 홀 대기하면서 클리닝하는 캐디
이 때, 세컨에서 플레이어에게 어프로치 클럽을 주고, 사용했던 클럽을 받은 후 카트에 있는 세척 통으로 클럽 세척을 빠르게 하고 정리가 가능한 시간이라면 세척해도 된다. 하지만 뒤 팀이 샷을 하는데 방해가 되면 세컨에서 세척하면 안된다.
클럽 클리닝에 익숙해지기 전까지 다음 홀 대기하면서 클럽 클리닝 하는 것이 가장 좋다.
홀 대기 없이 바로 티 샷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드라이버를 전달하고, 티 샷하는 동안 볼이 어디로 가는지를 지켜보면서 바로 카트 뒤에서 클럽 세척을 해야 한다. 반드시 낙구를 확인하면서 해야 하며, 이렇게 쉴 시간없이 바로 다음 행동으로 이어져야 세컨 이동하기 전에 클럽 세척을 마무리할 수 있다.
카트에서 사용하고 받은 클럽은 세척해서 원 위치에 보관할 수 있어야 한다.
꿀팁: 나는 이렇게 한다. (사용한 클럽, 사용하지 않은 클럽 구분하기)
박동근(13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