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4 인터넷전문은행 출범의 꿈이 잠정적으로 불발됐다. 금융위원회는 17일 AMZ뱅크, 소소뱅크, 소호뱅크, 포도뱅크 등 4개 컨소시엄에 대한 인터넷은행 예비인가를 모두 불허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에 이은 새로운 '메기'의 등장은 당분간 어려워졌다.
이번 결정은 컨소시엄들이 제출한 사업계획과 자본금 안정성 측면에서 모두 낙제점을 받았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특히 MZ세대와 농업인을 주 고객으로 삼아 기대를 모았던 AMZ뱅크도 고배를 마시면서 아쉬움을 남겼다.
AMZ뱅크, MZ세대·농업인 금융특화 전략 '무색'…주주 구성 불투명성 발목
AMZ뱅크는 기존 인터넷은행들이 포용하지 못했던 MZ세대와 농업인들을 주요 고객으로 삼아 차별화된 전략을 제시했다.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MZ세대를 위한 맞춤형 금융 상품과 함께, 금융 서비스에 소외된 농업인들을 위한 특화된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하지만 금융위의 심사 과정에서 AMZ뱅크의 대주주 구성과 자금 조달 계획에 대한 불확실성이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금융당국은 건전한 은행 경영을 위해 대주주의 자본력과 안정성을 매우 중요하게 평가하는데, AMZ뱅크 컨소시엄의 일부 주주들이 금융업 영위에 적합한지 의문을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AMZ뱅크의 사업 모델은 참신했으나,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주주들의 면면이 불분명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있었다”며, “대주주의 자금 동원 능력과 리스크 관리 역량이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최종 문턱을 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당국 "자본 안정성 최우선"…재도전 가능성은 열려
금융위원회는 이번 결정이 특정 컨소시엄의 사업 계획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컨소시엄들의 재무적 안정성과 리스크 관리 역량이 미흡하다고 판단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특히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정성을 고려했을 때, 부실 위험을 야기할 수 있는 신규 은행 설립은 신중해야 한다는 기조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이번 예비인가 불허가 정권 교체와 맞물려 제4 인터넷은행 출범 동력이 약해진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이번 결정은 오로지 금융 산업의 혁신과 안정성을 균형 있게 고려한 판단"이라며 선을 그었다.
이번 예비인가 불허 결정으로 당장 4번째 인터넷은행의 탄생은 미뤄지게 됐지만, 금융당국은 "향후에도 은행업 영위에 적합한 사업자의 진입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혀 재도전의 여지는 남겨뒀다. AMZ뱅크를 비롯한 컨소시엄들이 향후 자본력을 보강하고 사업계획을 구체화해 다시 도전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