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9월, 이재명 대통령은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CEO와 ‘한국을 아시아·태평양 AI 수도로 육성’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는 단순한 기술 협력을 넘어 국가 차원의 인공지능 전략이 본격화되었음을 의미하며, 공공분야에서는 AI 전문가 2만 명 양성과 전 직원 AI 활용 역량 강화가 추진 중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골프장 운영과 캐디 업무에도 AI 도입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1. 캐디 업무, AI로 어떻게 바뀔 수 있을까?
기존 업무 | AI 도입 가능성 |
---|---|
거리 측정 | AI 기반 GPS·센서 자동 거리 분석 |
퍼팅 라인 조언 | 머신러닝 기반 퍼팅 경로 예측 |
고객 응대 | AI 챗봇·음성비서 통한 고객 안내 |
백대기·예약 관리 | AI 스케줄링 시스템으로 자동화 |
배토·홀 관리 | 드론·센서 기반 코스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
“AI는 캐디의 역할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더 정밀하고 안전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도구입니다.” – 포씨유 기술팀
2. 골프장 운영에 AI가 필요한 이유
-
인력 부족 대응: 고령화·인력 이탈에 따른 캐디 수급 불안
-
고객 경험 향상: AI 기반 맞춤형 라운드 추천·코스 분석
-
안전관리 강화: AI 센서로 장비·코스 이상 탐지
-
데이터 기반 경영: 이용 패턴·매출·예약률 분석으로 운영 최적화
3. 실제 사례
-
미국 일부 골프장: 전동 카트에 AI 캐디 시스템 탑제, 고객 만족도 상승
-
일본: 드론 기반 코스 관리 시스템 상용화, 자율주행 골프카와 AI 캐디 시스템 통합 운영
-
국내: 일부 골프장 '헬로캐디' 도입, 용인 A 골프장 드론 자동경로 비행 시스템 도입, AI 예약 시스템 시범 운영 중
4. 포씨유 시선
“AI는 더 이상 IT기업만의 기술이 아닙니다. 골프장도, 캐디도, 인공지능을 통해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캐디의 감정노동·육체노동을 줄이고 전문성과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데 AI는 강력한 동반자가 될 수 있습니다.”
"AI 캐디봇과 드론 시스템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골프장의 운영 효율성과 캐디의 노동 강도를 줄이는 혁신입니다. 한국 골프장도 이제는 ‘스마트 캐디’와 ‘하늘에서 관리하는 코스’로 진화할 준비를 해야 할 때입니다."